본문 바로가기
건강

사십견 오십견 원인 및 증상 통증 완화 방법

by 유유파 2021. 11. 5.
반응형

오십견은 관절통의 일종입니다. 나이를 먹으면 어깨 관절이 원활하게 움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을 통칭 '사십견'오십견이라고 부릅니다.
사십견, 오십견은 이름 그대로 40대에 증상이 나타나면 사십견, 50대에 증상이 나타나면 오십견이라고 부르며, 각각 다른 점은 없습니다.
사십견·오십견은 노화에 의한 것이 많아, 특징으로는 어깨를 들거나 수평으로 유지하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빨래를 말리기 힘들어지거나 어깨보다 윗 것이 꺼지기 힘들어지거나 등의 지퍼를 올릴 수 없는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자주 어깨 결림과 혼동되어 버리기 십상입니다만, 어깨 결림은 근육의 긴장 등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사십견, 오십견과는 분명히 다른 것입니다.
어깨를 움직일 때 통증이 생기거나 팔을 후방으로 돌리지 못하거나 좀처럼 어깨를 들 수 없는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심해지기 전에 무언가 대처합시다.

오십견

사십견, 오십견의 원인은?

사십견, 오십견은 어깨 관절에 있는 '건판'이라는 조직이 염증을 일으켜 '관절포'로 확산되면서 발생합니다. 이는 노화에 따라 근육과 힘줄의 유연성이 없어져 원활하게 움직이지 않게 되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원인은 명확하지 않습니다.

오십견 증상 손잡이..

사십견·오십견의 증상

사십견, 오십견은 견갑골과 상완골을 연결하는 어깨 관절에 통증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팔을 들어 올리는 것 같은 움직임이 어렵고, 그중에서도 팔을 바깥쪽으로 돌리는 것 같은 동작 등은 특히 통증을 느낍니다.

예를 들면...
머리를 뒤로 묶을 때
지하철에서 손잡이를 잡을 때
옷을 갈아입을 때
빨래 널 때
앞치마 끈을 묶을 때
샴푸를 할 때
양치할 때
등등
단지 「통증이 있다」라고 할 뿐만 아니라, 평소의 간단한 동작이 곤란해져, 일상생활에 불편을 느끼는 분도 있습니다.

통증의 상태에 대해서

사십견, 오십견은 통증이 강한 '급성기'와 통증은 안정되어 있지만 생각대로 어깨를 움직일 수 없는 '만성기', 통증이 개선되는 '회복기'로 나뉘며, 대부분의 경우 경과와 함께 통증이 개선됩니다.

급성기

 

둔통

어깨 언저리가 답답한 느낌
어깨 관절이 따끔따끔 아프다

감각이상

어깨 주위의 감각이 둔해지다
팔에 위화감을 느끼다
목이나 어깨 부근에 탄력을 느끼다

통증

욱신욱신 쑤시는 듯한 아픔이 있다
어깨를 움직일 때 통증을 느낀다
아침저녁으로 통증이 심해지다

야간시통·안정시통

움직여도 아프고 아무것도 안 해도 아프다
밤에 잘 때 통증이 있고 잠을 못 잔다, 아파서 잠을 깨다

만성기

야간 시통, 안정 시통은 가벼워진다
지나치게 움직였을 때, 강한 당김 감이 있다
급성기의 통증으로, 움직이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면 관절이 딱딱해져,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좁아진다.

회복기

서서히 통증이 개선되고, 움직일 수 있는 범위도 넓어진다.
움직여도 통증이 사라진다

오십견 증상

사십견, 오십견과 어깨 결림의 차이점은?

사십견, 오십견과 어깨 결림은 어떻게 다를까요?
간단히 설명하면 어깨 결림은 「근육 피로」, 사십견이나 오십견은 「염증」 상태입니다.
일반적인 어깨 결림은 근육의 긴장에서 오는 혈액순환 악화가 원인. 습관화된 나쁜 자세와 운동 부족, 스트레스에 의해 근육 피로가 일어나, 뭉침이나 통증을 일으킵니다.
한편, 사십견, 오십견은 노화 등으로 인해 견관절을 둘러싼 관절포나 건판에 염증이 발생하여 통증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때문에 나이가 어린 사람보다 중년 이후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깨 결림과 사십견, 오십견은 대처 방법이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잘못된 판단으로 통증을 악화시키는 일이 없도록 올바른 진단 하에 적절한 대처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사십견 오십견 대처법은? 병원 치료법은?

뚜렷한 원인을 알 수 없는 사십견, 오십견이지만 악화시키지 않기 위해서라도 상태에 맞는 관리가 필요합니다. 사십견, 오십견의 주요 치료법 몇 가지를 소개합니다.

운동요법

사십견, 오십견의 치료법으로는 '운동요법'을 중심으로 한 재활치료를 실시합니다. 스트레칭이나 진자 운동은 어깨 관절의 긴장을 풀어, 통증의 완화와 관절의 가동 범위를 넓히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사십견, 오십견은 어느 한쪽에서 발병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통증이 없는 쪽의 예방책으로도 매일 도입해 가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온열 요법

환부의 혈액 순환을 좋게 함으로써 치유를 촉진하고 통증 완화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의료기관에서 하는 온열 요법은 핫팩이나 마이크로파 등의 기기를 사용한 치료가 있습니다만, 집에서는 목욕이나 찜질 수건 온찜질 등을 사용하여 따뜻하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단, 온찜질은 사람에 따라 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장시간 같은 장소에 붙이는 것은 피하고 목욕 후에는 30분 이상 두었다가 다시 붙이면 염증을 막을 수 있습니다.
또한 온찜질의 약효가 남은 상태에서 목욕하면 따끔거릴 수도 있기 때문에 목욕 1시간 전에는 벗기도록 합시다.

외출 시에는 어깨를 식히지 않도록, 스톨 등으로 보온하는 것도 잊지 않도록.

한랭 요법

사십견, 오십견으로 통증이 심하고 열이 있는 경우에는 염증을 억제하는 '한랭 요법'을 시행합니다. 이것은 아이스 팩 등을 사용하는데, 준비에 시간이 걸리거나 동상을 일으킬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가정에서의 대처법으로는 그다지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냉찜질을 하세요. 단, 오랜 시간 계속 식혀 버리면 근육이 굳어지므로 통증이 가벼워지면 온찜질로 전환하여 혈액 순환을 좋게 합니다.

 

사십견, 오십견의 야간 통증 완화와 잠자는 요령

사십견, 오십견이 되면 취침 시에도 통증이 나타나는 '야간통'이 나타나기 쉽습니다.
그러다 보니 잠이 부족하기 일쑤고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나 상당히 힘든 상황인데. 특별히 움직이고 있는 것도 아닌데 왜 자고 있을 때 어깨 통증이 생기는 걸까요?

우리 몸은 타원형 모양이고 팔은 견관절, 견갑골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견갑골은 몸의 곡선을 따라 약간 각도가 잡혀 있습니다.
따라서 평평한 바닥에 위를 보고 자면 중력에 의해 어깨의 위치가 눌려 관절에 부담이 되는 것입니다.
어깨를 다치지 않은 사람이라면, 전혀 문제없는 차이이지만 오십견, 사십견에 사람에게는 수축한 근육이 늘어나거나 일그러진 힘이 가해지는 것으로 큰 통증의 원인이 됩니다.
취침 시의 대책으로는 어깨가 눌리지 않도록 침구의 각도를 조정해 봅시다.

높이를 조정

목욕 타월이나 베개를 사용해 어깨 높이를 보완합니다.
어깨 뒤쪽에서 팔꿈치에 걸쳐 더하여 받침을 만들어 안정시킵니다.

아픈 쪽을 위로, 옆으로 눕는다

어깨 관절은 몸의 안쪽을 향하고 있는 것이 편해지기 때문에 옆으로 누워 자는 것도 대처법 중 하나입니다. 옆으로 누울 때는 어깨가 눌리지 않도록 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안는 베개나 둥글게 만든 담요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베개는 너무 높지도 낮지도 않고

베개가 너무 높으면 목과 어깨 주위의 근육을 늘려서 통증이 오고, 반대로 너무 낮으면 목과 어깨 주위의 긴장을 높이기 때문에 어깨에 부담이 갑니다.
그런 경우에는 베개에서 상체, 하체에 걸쳐 경사를 붙이면 목에서 어깨에 대한 부담도 완화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