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
다리 관절에 힘이 가해져 일어나는 부상 중 골절이나 탈구 이외의 질환을 염좌라고 진단합니다. 엑스레이를 찍었을 때 이상이 보이지 않는 것이 특징인 다리 관절 부상입니다. 족관절의 연부조직(인대나 힘줄 등)이나 연골(관절연골·반월판·관절순 등) 등이 파열되거나 손상된 상태이며, 주로 족관절 외측인대라고 하는 족관절의 외 복사뼈 아래쪽에 있는 인대가 손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족관절 외측 인대는 전거비인대, 종비인대, 후거비인대로 3개로 나누어져 있어 염좌의 경우 전거비인대를 손상하는 일이 많고, 뒤이어 종비인대의 손상이 되어, 후거비인대의 손상이 일어나는 일은 드뭅니다.
손상의 정도에 따라 세 가지로 분류하여 치료 방법을 정하고 있습니다.경도는 Ⅰ도, 중도는 Ⅱ도, 중도는 Ⅲ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Ⅲ도는 인대가 완전히 파열되어 있으며, 외 복사뼈가 부어오르고 출혈에 의해 푸른 멍이 발생합니다. 통증으로 인해 걸을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경도라고 생각해서 방치해 두면 족관절이 불안정한 상태로 돌아가지 않게 될 수도 있고, 빈번히 족관절의 염좌를 일으키게 되어 관절 연골의 손상도 진행되어 변형성 족관절증이 될 위험성도 있습니다.
부상 후 부어 오를 때까지 장시간 걸릴 수 있기 때문에 비틀면 일단 정형외과에 갈 것을 권장합니다.
원인
다리 관절을 안쪽으로 강하게 비틀려서 다리 관절을 지탱하고 있는 인대가 늘어나 손상이나 파열을 일으킵니다. 스포츠나 레크리에이션을 할 때 점프 착지 시에 비틀리거나 바닥에 미끄러져 다리를 삐는 일이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접촉 플레이가 많은 축구나 럭비, 야구나 체조 경기나 테니스 등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또한 많은 염좌는 2,3주 정도의 안정으로 강한 통증이 가라앉으며 기본 동작에서 통증을 느끼지 않게 됩니다. 안정을 취하지 않아도 통증은 사라지지만 그 후 다시 스포츠 활동 등으로 부하가 걸리면 통증과 붓기, 흔들림이 나타납니다. 이렇게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고 과부가 심하면 악화될 수도 있고 최악의 경우 변형성 족관절증에 이를 수도 있기 때문에 초기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응급 처치
부상 직후라면, 다음과 같은 RICE 처치를 실시합니다.
Rest 안정.
다리를 움직이지 않고 안정되게 유지, 고정합니다. 무리하게 움직여 체중을 실으면 통증이 증가하거나 악화될 수 있으므로 안정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Icing 냉각
환부를 찜질합니다.차게 함으로써 혈관이 수축하고 내출혈이나 염증을 억제할 수 있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이어집니다.
Compression 압박.
환부 테이핑이나 붕대 등으로 압박합니다. 붓기가 심해지면 통증이 강해질 수도 있고, 치유까지 시간이 걸릴 수도 있지만, 압박하여 증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Elevation 환부높임
다리를 가능한 한 심장보다 높은 위치에서 고정합니다. 내출혈 및 통증을 완화하는 것으로 이어집니다.
치료방법
또한 손상의 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Ⅰ, Ⅱ, Ⅲ로 나누어 치료하고 있습니다. Ⅰ도일 경우에는 인대의 미세 손상 및 경도의 압통이 있으나, 소위 약간 비틀린 정도이므로 당일 혹은 2~3일 내에 경기 복귀가 가능한 상태입니다. 보행이나 가벼운 주행도 가능합니다.
Ⅱ도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경우가 부분 파열이므로 걸을 수 있지만 달릴 수 없는 상태인 경우가 많습니다. 물리치료를 통한 보존요법을 시행합니다.
Ⅲ도의 경우에는 완전 파열로 판단되기 때문에 일정 기간 깁스에 의한 고정을 합니다.
고정에 의해 붙지 않는 경우에는 파열 인대 봉합 수술을 실시합니다. 고정에 의해 굳어 버리거나 고정을 하고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인대가 잘 복구되지 않고 느슨해진 상태로 남아 버린 경우에는 흔들림을 억제하는 근력 트레이닝이나 딱딱해진 곳을 풀어 움직임을 개선하는 재활을 실시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B형 간염 ·C형 간염 원인 및 증상 예방 (0) | 2021.11.08 |
---|---|
아기 사두증 원인 및 치료 (0) | 2021.11.07 |
사십견 오십견 원인 및 증상 통증 완화 방법 (0) | 2021.11.05 |
콜린성 두드러기 원인 및 증상 (0) | 2021.11.05 |
자궁외 임신 원인 및 증상 (0) | 2021.1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