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가 부족하다는 느낌이? 8, 9시간 혹은 12시간씩 자는데 항상 피곤합니까? 건강에 있어 단시간 낮잠을 자는 것은 당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중요하며, 한해 이맘때쯤 피곤함을 느끼는 것은 흔한 일이다.
그렇다고 하룻밤 푹 자고 나서도 아직 피로와 나른함을 느낀다면 다음의 7가지 이유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1. 에너지 부족? 수분이 부족
적당히 수분을 섭취하지 않으면 혈압이 떨어지고 뇌로 산소 공급 속도가 느려진다.
8시간 잔 후에도 피곤하다면 수분을 섭취할 필요가 있다.
필요한 수분량은 개인마다 다르지만 하루 적어도 세 번은 화장실에 가야 합니다.
차나 커피를 포함한, 물을 베이스로 한 음료를, 하루에 6~8잔 섭취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2. 항상 피곤? 갑상선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갑상샘 기능 저하증은 졸음과 식욕을 조절하는 호르몬을 만들어 내는 갑상샘의 기능 저하로 촉발됩니다.
이는 과도한 수면의 흔한 원인이지만 의사의 진단 없이 정확히 가려내기는 어렵습니다. 나른함을 느끼고는 있지만, 수면은 충분히 하고 있다면 병원에 예약을 해야 한다. 간단한 혈액 검사로 갑상선의 상태를 진찰할 수 있습니다.
3. 일어날 때 피곤? 알코올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바쁜 하루 뒤 우리들 중 절반 이상이 일주일에 서너 번씩이나 술을 마십니다
알코올은, 처음에는 당신을 편안하게 하지만, 수면의 질을 떨어뜨린다.
이는 권장되는 7, 8시간의 수면을 취하더라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왜? 알코올 내의 화학 물질이 당신의 수면 사이클을 방해하고, 깊은 잠을 재우지 않기 때문입니다.
4. 언제든지 피곤하고 에너지가 없다? 수면 무호흡증일 수도
이 증상은 인구의 3~7% 밖에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가능성으로서는 낮을 것입니다. 수면 무호흡증에 시달리는 사람들은 1시간에 5~100회 숨이 막혀 잠을 깬다.
그것이 실제보다 더 무섭게 들릴지 모르지만 수면의 질이 낮기 때문에 더 오랜 시간 잠을 잡니다. 문제점은 잠에서 깬 것을 기억하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로 그 증상에 시달리고 있는지 잘 모르겠다는 것입니다. 밤에 자는 동안 산소 부족으로 인해 일어나는 코골이, 체중 과다, 그리고 두통과 함께 깨어나는 것은 수면 무호흡에서 볼 수 있는 모든 징조입니다.
5. 잔 후에도 아직 피곤해? 낮잠이 원인일 수도
낮잠은 오후의 슬럼프를 완화시킬 수 있지만 다운타임 시간이 매우 중요하다.
30분까지 낮잠을 자는 것은 새로운 활력을 얻을 수 있지만 그보다 더 오래 낮잠을 자버리면 결과적으로 1시간의 렘수면 사이클에 빠지게 된다고 임상적으로 증명되고 있습니다.
6. 8시간을 자도 아직 피곤해? 정신적인 문제일 수도
기분이 우울할 때 꼭 잠을 더 잘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아침에 더욱 일어 나가는 것이 괴로울 뿐이다. 그것이 수면 과다로 이어지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만약 아침에 일어나서 그날을 보낼 에너지가 부족하다거나 그 하루를 무섭게 느낀다고 자각하고 있다면 꼭 주저하지 말고 의사에게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7. 자도 자도 항상 졸려? 미네랄 부족일 수도
마그네슘은 혈중 글루코스 수준과 근력, 집중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것이 부족하면 무기력한 기분을 남긴다.
마그네슘은 잎채소나 견과류에 포함되어 있지만, 건강기능식품에서 섭취하는 것도 추천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품하는 이유 (0) | 2021.09.24 |
---|---|
블루라이트의 영향 : 체내시계 (0) | 2021.09.24 |
모야모야병 원인 및 증상 : 치료 (0) | 2021.09.24 |
카페인 중독 증상 및 자가진단 : 부작용 (0) | 2021.09.17 |
뇌진탕 초기 증상 및 치료 (0) | 2021.09.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