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켈로이드 흉터(비후성 반흔) 원인 및 치료

by 유유파 2021. 10. 27.
반응형

켈로이드 · 비후성 반흔이란, 부상이나 수술 등으로 생긴 흉터가, 딱딱해져 붉게 부풀어 오른 상태입니다.
비후성 반흔의 경우 통증이나 가려움 등의 증상은 적고 흉터 부분만 붉게 달아오르지만, 켈로이드는 강한 통증이나 가려움을 동반하고 방치하면 원래의 상처 범위보다 크게 퍼져 나가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비후성 반흔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작아질 수 있지만 켈로이드는 서서히 진행되어 계속 퍼지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치유되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그러나 양쪽 모두 피부에 생긴 상처가 원인이 되어 발병하고 증상도 매우 비슷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비후성 반흔과 켈로이드를 명확하게 구별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또한 현미경에 의한 병리검사도 차이가 없기 때문에 최근에는 같은 병태가 아닌가 생각되고 있어 본원에서도 굳이 구별하지 않고 동등한 질환으로 치료를 하고 있습니다.

켈로이드 흉터

켈로이드 · 비후성 반흔이 되는 원인

상처나 화상, 수술등에서 상처가 생기면, 피부의 진피층에서는 「섬유아세포」의 기능이 활성화 해 대량의 콜라겐을 생성해, 시멘트와 같이 상처를 메우고 보수를 실시합니다. 수복이 진행되어 상처가 아물어 오면, 보통, 섬유아세포의 기능은 억제되어 콜라겐의 생성도 스톱합니다만, 어떠한 이상으로, 섬유아세포가 활성화한 채로 콜라겐을 계속 만들어 버리면, 너무 증가한 콜라겐이 부풀어 올라, 켈로이드나 비후성 반흔이 됩니다.
왜 켈로이드나 비후성 반흔과 같은 흉터가 생기는지 자세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켈로이드 체질'이라고 불리는 것처럼 개인의 체질이나 유전이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또한 신체 부위에 따라서도 생기기 쉬운 곳이 있고 비후성 반흔은 주로 팔꿈치나 무릎, 발목 등의 관절 부분, 코 주위, 윗입술 등에 많이 발생하는 반면 켈로이드는 가슴이나 어깨, 팔뚝, 귓볼(피어싱 상처), 하복부(제왕절개 흉터 등)에 많이 발생합니다.
그밖에 흉터에 걸리는 긴장이 강한 경우나 흉터가 곪아 치유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경우도 켈로이드나 비후성 반흔이 될 수 있습니다.

켈로이드

켈로이드·비후성 반흔의 치료 목적

켈로이드나 비후성 반흔의 치료는, 「섬유아세포의 활동을 억제하는 것」이 포인트가 됩니다.
성형외과에서는 환부의 염증을 억제하고 통증이나 가려움 등의 증상을 완화하는 것 외에 붉게 부풀어 오른 외모를 희고 눈에 띄기 어려운 상태로 만드는 치료를 실시합니다.
또한 흉터가 관절을 걸쳐서 나타나는 경우, 피부가 당겨져서 잘 펴지지 않는 반흔 구축이 생겨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적절한 치료를 하여 진행을 막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만, 증상의 개선에는 긴 시간이 걸려, 적어도 반년, 환자에 따라서는 1~2년 걸리는 일도 많기 때문에, 초조해하지 않고 끈기 있게 치료를 계속해 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켈로이드 손

켈로이드·비후성 반흔의 주요 치료법

 

내복 치료

내복약은 효과를 낼 때까지 시간이 걸리고 단독으로 사용해도 별로 효과가 오르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다른 치료와 병용합니다.

외용약 치료

직접 반흔 부분에 약을 바르거나 붙이거나 하는 약입니다. 주로 염증을 억제하기 위한 스테로이드제와 보습제가 있으며, 다른 치료와 병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스테로이드제

바르는 약이나 붙이는 약이 있습니다. 스테로이드의 항염증 작용에 의해 상처의 가려움이나 통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붙이는 약은, 오래 사용하는 것으로 흉터의 고조나 붉은 기를 개선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주사 치료 

반흔 부분에 스테로이드제를 주사합니다. 항염증 작용이 있는 스테로이드가 흉터의 통증과 가려움을 완화하고 홍조 및 부어 오르는 것을 개선합니다.
반흔 부분에 약을 직접 주입하기 때문에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효과가 너무 강하면 흉터가 반대로 움푹 패거나 주위 피부가 얇아져서 모세혈관이 확장될 수도 있습니다.

레이저 치료

켈로이드나 비후성 반흔에는 주로 혈관에 작용하는 레이저. 2~4주에 한 번씩 반복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켈로이드나 비후성 반흔 속의 혈관이 파괴되어 흉터의 붉은 기를 개선하고 눈에 띄기 어렵게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치료는 마취 없이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부위나 크기에 따라서는 국소 마취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