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의충돌증후군에서의 「충돌」이란, 팔을 들거나 비틀거나 했을 때에 견갑골의 일부의 견봉과 상완골의 뼈끼리가 충돌하는 것을 말합니다.
견봉과 상완골이 임핀지먼트 충돌을 반복하면 건판 파열 위험이 높아집니다. 즉 어깨충돌증후군은 견건판 파열의 전 단계의 질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깨 건판 파열에 이르면 파열 정도에 따라서는 수술이 필요할수도 있습니다.
수술 후에도 입원해서 재활치료가 필요합니다.
어깨를 들거나 비틀거나 했을 때 걸리는 느낌이나 통증을 느끼는 것 같다면, 어깨충돌증후군일 가능성이 의심됩니다.
가능한 한 빨리 병원을 방문하여 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증상
어깨를 올려 갈 때, 어느 각도에서 통증이나 걸리는 것을 느끼고, 그 이상으로 올릴 수 없게 되는 증상의 총칭입니다. 악화되면 경직이나 근력 저하 등도 동반되어 야간 통증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어깨를 거상할 때 혹은 거상한 위치에서 내려올 때 거의 60-120° 사이에서 특히 강한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있으며, 유통호증상(페인풀 아크)라고 합니다. 뼈 형태의 개인차로서 견봉이 원래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경우나 노화 변화로서 견봉아래에 골가시가 생겼을 경우외, 투구 동작 등 팔을 자주 사용하는 스포츠 선수에게도 발병합니다.
상완을 외전하는 과정에서 상완골과 견봉 사이에 건판의 일부나 견봉하활액포 등이 끼여 반복적으로 자극이 가해지면 활액포에 부종이나 출혈이 발생합니다. 안정을 취하면 이 변화는 정상으로 돌아와 증상은 호전 되지만 반복 동작에 따라서는 증상의 재연을 반복하여 만성화됩니다. 진행되면 때때로 건판 부분 파열이 되거나 견봉 아래에 뼈의 가시가 생기거나 해서 통증이 좀처럼 없어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어깨 관절 주위를 유연하게 해주는 스트레칭
어깨 관절 주변의 근육을 부드럽게 하면, 견갑골의 가동 범위가 넓어져, 어깨에 부담이 경감됩니다.야구 어깨의 예방을 위해 일상적으로 스트레칭을 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합시다.
어깨 뒤쪽 스트레칭
견갑골을 벽에 고정 한 후 팔을 수평으로 구부려 안쪽으로 비틀어 줍니다. 팔이 내려가지 않게 주의합시다.
광배근의 스트레칭
오른쪽 어깨 올리고 팔꿈치 구부릴게요. 다른 한 손을 팔꿈치에 대고 몸을 왼쪽으로 구부리면서 팔꿈치를 왼쪽으로 당깁니다. 골반을 움직이지 않고 합니다.
어깨 관절을 안정시키는 운동
어깨의 코어근육은 어깨 관절을 안정시키는 작용이 있습니다 .
어깨충돌중후군을막기 위해서는 근육을 단련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립성 저혈압 증상 원인(예방 방법) (0) | 2021.07.21 |
---|---|
결핵 증상 원인(예방법) (0) | 2021.07.21 |
담석증·담낭용종 (증상 및 원인) (0) | 2021.07.20 |
뇌경색 전조증상 및 원인 (0) | 2021.07.20 |
체했을때 증상 예방 및 대처방법 (0) | 2021.07.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