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구체신염'이란 어떠한 면역반응 이상으로 인해 신장에 염증이 생겨 혈뇨나 단백뇨를 초래하는 병을 말합니다. 주로 '급성사구체신염'과 '만성 사구체신염'으로 크게 나뉩니다.
급성 사구체신염이란
연쇄상 구균 감염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다
급성 사구체신염은 급성 신염이라고도 합니다. 4세부터 10세 사이의 자녀가 많으며, 연간 소아 10만명당 2~3명 정도가 발병합니다. 급성 사구체 신염의 90%는 용혈성 연쇄상구균(용연쇄상구균) 감염 후 발병합니다. 연쇄상구균은 인두염이나 전염성 농가진의 원인균으로 유명한데, 감염이 된 일부 환자에서 급성 사구체신염이 인두염으로부터 약 10~14일 후, 전염성 농가진에서 약 20~30일 후에 발병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감염의 원인으로는 일반적이지만, 실제로 급성 사구체 신염을 합병하는 환자는 극히 드뭅니다.
급성 사구체신염 증상
눈꺼풀이나 다리 부종, 혈뇨나 단백뇨 등의 증상이 나타나다
연쇄상 구균의 독소와 균의 성분과 그에 대한 항체가 결합하여 생긴 면역 복합체가 신장의 사구체에 침착하여 염증이 일어나고 사구체의 모세 혈관이 장애를 받습니다. 그 결과 모세 혈관에서 여분의 수분이나 노폐물을 배설하는 것이 어려워져, 소변량 저하와 부종이 발생합니다. 또한 사구체의 모세 혈관이 손상되어 혈뇨 및 단백뇨가 출현하게 됩니다. 환자의 대부분은 눈꺼풀과 다리의 부종, 적색이나 갈색 소변(육안적 혈뇨)을 계기로 의료기관에서 진찰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급성 사구체신염에서는 혈뇨는 거의 100%의 환자에게서 일어나고 단백뇨도 약 80% 정도인데 그 정도는 다양합니다.
진단 시에 인두염이나 고름가진 감염의 알면 진단은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그러나 선행 감염이 확실치 않은 환자도 적지 않습니다. 또한 급성 사구체신염은 신장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평가하기 위해 혈액검사가 필요합니다. 혈액검사는 신기능(크레아티닌, 요소질소), 용혈성연쇄상구균의 항체검사(ASO, ASK 등), 보체가(C3, C4, CH50)를 조사합니다. 연쇄상구균의 항체 값 상승, 보체 값의 저하가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인두와 피부에 소견이 남아 있는 경우 인두 배양 및 연쇄상구균의 신속 검사, 피부 염증 부위의 배양을 실시합니다.
급성 사구체 신염 치료
식사요법이나 대증요법이 중심이 되어 통원으로도 치료가 가능하지만 중증인 경우는 입원하는 것도
급성 사구체신염은 기본적으로 자연적으로 치유되는 질병입니다. 치료에 관해서는 안정이나 저염 등의 식사요법, 혈압관리 등의 대증요법(증상에 따른 치료)이 주가 됩니다. 외래 통원으로도 치료 가능한 환자도 많습니다만, 고혈압이나 소변량의 저하·신기능의 저하를 인정하는 경우는 입원이 필요합니다.
입원에서는 안정, 저염식(1일 3g정도)을 하고 소변량 저하·부종·고혈압 등이 인정되는 환자는 음용수 제한이나 이뇨제·강압제를 투여합니다. 1주일 정도 증상이 지속된 후 소변의 양 개선, 부종의 경쾌함과 함께 신장 기능이 개선되고 혈압도 저하됩니다. 증상이 개선이 되면 식사를 일반적인 식사로 하고 안정도 필요하지 않게 됩니다. 소변의 양과 신장 기능, 고혈압이 개선이 되면 퇴원을 하게 됩니다.
스테로이드나 투석으로 아주 드물게 치료를 하지만 콩팥에 손상을 줄 염려는 거의 없다
극히 드물게 일시적으로 스테로이드나 투석을 필요로 하는 환자가 있습니다만, 이 질병으로 인해 장기적으로 신장에 손상을 남기는 경우는 드물습니다.
급성 사구체 신염은 재발하지 않는다
2개월 이상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만성 사구체 신염일 가능성이 높다
일단 급성 사구체 신염에 걸린 환자가 다시 이환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그러나 급성 사구체신염이 발병한 후 2개월이 경과하여도 보체가가 개선되지 않거나 단백뇨가 지속되는 경우에는 급성 사구체신염이 아닌 만성 사구체신염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신장 전문의가 있는 의료기관에서 반드시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만성 사구체신염이란
IgA신증이나 자반병성신염, 막성증식성사구체신염 등의 총칭
만성 사구체 신장염은 만성 신장염이라고도 불리며, 가장 흔한 신장병 중 하나입니다. 혈뇨와 단백뇨가 지속되는 상태를 가리키며,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면 신장 기능 저하, 최악의 경우 신부전이 될 가능성이 있는 질병입니다. "한 질병이 아닌 IgA신증, 자반병성신염, 막성증식성사구체신염 등 지속적인 혈뇨, 단백뇨를 인정하는 질병을 총칭합니다"
만성 사구체 신염의 원인과 증상
자세한 원인은 알 수 없으며 증상은 혈뇨나 단백뇨, 부종 등이 발생함
만성 사구체신염의 대부분으로 자세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어떤 면역반응의 이상이 원인이 되어 신장에 염증이 생겨 발병합니다. 부종이나 육안적 혈뇨 등의 증상으로 발견되기도 하나 많은 분들이 무증상으로 인해 학교검뇨 등의 건강검진을 통해 혈뇨, 단백뇨가 발견된 것을 계기로 진단받고 있습니다. 확진 및 치료를 위해서는 소아 신장질환에 정통한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신기능이 악화되거나 단백뇨가 지속될 경우 정밀검사를 위해 신생검(신장의 조직을 채취하는 행위)을 해야 합니다.
만성 사구체 신염 치료
스테로이드나 면역 억제제를 사용하는
치료는 질환에 따라 다르지만, 많은 만성 사구체 신장염으로 스테로이드와 면역 억제제를 중심으로 한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쓰림 원인 및 대처방법 (0) | 2021.10.28 |
---|---|
번아웃 증후군 원인 및 증상 예방법 (0) | 2021.10.28 |
엉덩이 종기가 생기는 이유 (예방법) (0) | 2021.10.28 |
스트레스 해소법 (0) | 2021.10.27 |
켈로이드 흉터(비후성 반흔) 원인 및 치료 (0) | 2021.10.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