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강직성 척추염 증상 및 특징

by 유유파 2022. 1. 17.
반응형

강직성 척추염의 특징

척추염이라는 것은 염증이 선장관절과 척수, 어깨관절과 고관절 등에 일어나는 질병의 몇 가지를 종합한 것인데, 그중에서도 강직성 척추염이 대표적인 것입니다.
강직성 척추염의 특징은 뼈에 발꿈치 등의 힘줄이 붙는 부분에 염증 부착부염이라는 것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앞으로 나가면 강직이 척추 사이에 나타납니다.
척추관절염의 요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척추관절염의 경우 HLA라는 인간 백혈구 항원 중 HLA-B27이라는 특정 유전자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강직성 척추염



강직성 척추염 증상

강직성 척추염의 경우는 사지의 관절이나 척수 중에서도 특히 선장 관절기나 요추의 기초가 되는 부위가 침범됩니다.
따라서 전부의 통증이나 요통으로 발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좌골신경통이나 요통증과 자주 혼동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통증은 점점 진행이 되어 갑자기 일어나는 경우는 전혀 없습니다.
강직성 척추염의 특징으로는 운동을 적당히 하면 통증이 가벼워지고 움직이지 않으면 통증이 심해지며 강한 통증이 아침이나 저녁에 일어납니다.
며칠 심한 통증이 지속된 후에는 거의 통증이 없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염증이 선장 관절이나 척수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인해 통증이 일어나기 때문에 소염 진통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관절염이 척수에 가까운 어깨 관절, 고관절 등에 일어나는 경우도 많아 진행되면 뼈가 망가집니다.

또한 척수가 강직성 척추염인 경우에는 딱딱해져서 잘 움직이지 않게 됩니다.
그러나 염증으로 인해 골원은 오히려 약해지고, 골다공증이 일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관절이나 척추 외에는 급성 눈의 염증이 환자의 3분의 1 정도에 나타납니다.
초기에는 체중감소, 발열, 피로감, 빈혈 등이 전신적으로 나타납니다.

허리통증

강직성 척추염 진단 및 검사

요통이 점점 더 어린 나이에 진행되는 경우가 있으며, 운동을 하게 되면 척추관절염의 강직성 척추염 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혈액 검사의 경우는 CRP라고 하는 염증을 반영하는 것이 올라가는 경우가 많아집니다.
류마토이드 인자라고 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경우에 나타나는 것은 음성으로 보입니다.
특정 유전자의 HLA-B27이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자주 HLA 유전자형 검사를 실시합니다.
화상 검사로는 척수와 선장관절 엑스레이 검사가 있으며 CT 검사, MRI 검사 등을 필요에 따라 실시합니다.
현재 강직성척추염을 조기에 진단하기 위한 진단기준이 해외에서 여러 가지가 제기되고 있으며, 진단할 때 이러한 진단기준도 참고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