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장염 증상 및 원인(급성 충수염)
대장 입구 맹장에 충수라고 하는 510cm 정도의 돌기물이 있다. 이 충수가 이물질이나 분석등이 원인으로 폐색해, 염증을 일으키는 병이 「급성 충수염」.맹장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증세.갑자기 심한 복통을 일으키는 병을 급성복증이라고 하는데 급성충수염은 그중에서도 가장 많은 병.2, 3세 정도의 유아기부터 초중학생, 20대 정도까지 발병률이 높지만 고령자를 포함해 남녀 불문하고 어느 세대나 볼 수 있다.오른쪽 하복부의 통증으로 잘 알려져 어린 아이의 경우는 식욕 감퇴, 구토등이 계기로 판명되기도 한다.염증이 점막에만 있는 카타르성 맹장염, 충수벽 전체에 염증이 있는 봉와직염성 맹장염, 벽에 괴사가 발생한 괴저성 맹장염으로 분류된다.
원인
급성 맹장염은 충수에 갑작스러운 염증이 생겨 발병한다.그 원인은 모두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분석(소화관의 내용물이 굳어진 것)등의 이물로 인해 충수가 폐색되거나 충수가 뒤틀리거나 하는 것으로 혈액순환이 악화됨으로써 발병한다고 되어 있다.과식·과음, 불규칙한 생활, 변비, 과로 등 평소 습관에 의해서도 증상이 유발된다고 생각되고 있다.맹장염은 충수가 염증을 일으켜 곪은 상태이기 때문에 방치하면 맹장 안에 고름이 고여 그것이 오른쪽 아랫배 통증의 원인이 된다.이 단계에서는 발열도 생긴다.더 심해지면 천공이 생기고 고름이 복강 내로 흘러나와 복막염을 동반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증상
오른쪽 아랫배가 아픈 것으로 알려지는데, 처음에는 충수의 뿌리가 막혀 압박되기 때문에 초기 증상으로는 명치 부근에 통증이 생기는 경우가 많고 구역질이 나는 경우도 많다.설사를 동반하기도 한다.이후 서서히 오른쪽 하복부로 통증이 이동하면서 시간이 지날수록 심해진다.통증을 전달하기 어려운 유아의 경우 식욕부진, 구토 등의 증상이 이변을 깨닫는 계기가 된다.염증이 심해지고 충수에 구멍이 나면 통증이 심해진다.고름이 광범위하게 퍼지면 고열이 나서 배를 만지기만 해도 통증이 온다.강한 통증 때문에 복근의 힘이 빠지지 않고 등을 구부린 자세가 되는 경우가 많아진다.
검사·진단
우선은 문진에 의해서, 통증의 유무나 장소, 정도를 체크. 아울러 복부나 직장 부분을 직접 촉진함으로써, 압박했을 때에 통증이 나오는지를 조사한다.또 혈액검사로 백혈구의 수나 CRP치를 보고 염증의 정도를 파악. 한층 더 초음파(에코) 검사, CT검사에 의해서 충수의 염증이나 붓기 상태, 분석의 유무, 주변 기관의 상태를 확인한다.게다가 수술 요법인지, 항생제를 이용한 치료법을 취할지 등, 치료의 방향성을 판단한다.초음파검사로 진단받는 경우가 많지만 CT검사로 다른 질환을 감별하기도 한다.
치료
증상이 가벼운 경우 항균제 투여와 경과 관찰로 염증을 가라앉히는 보존적 치료를 한다.이것이 이른바 약으로 알린다는 방법.카타르성 맹장염 등 비교적 증상이 가벼운 것에 대해 적용된다.재발의 위험도 있어, 도중에 치료법이 변경되기도 한다.한편 발병 후 시간이 지나면 충수에 구멍이 뚫릴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우선 수술을 통해 충수를 절제하는 외과적 치료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외과적 치료로는 개복수술과 복강경하수술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개복 수술의 경우는 피부 절개를 실시해, 충수를 절제.복강경하 수술의 경우 몇 군데 구멍을 통해 복강 내로 카메라를 넣어 절제하지만 염증이 심하면 할 수 없다.모두 복막염이나 맹장 염증 등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복강드레나지술(오염물질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방법)을 시행해 염증을 가라앉힌 뒤 대기적으로 수술하기도 한다.
예방/치료 후 주의
특히 유아는 정확히 병세를 전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발견이 늦어지면서 병세가 악화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유아의 복통은 자주 있는 일이지만, 배를 아파하고 있는 경우는, 우선은 만져 보고 싫어하지 않는지의 판단의 기준이다.발열이나 식욕부진, 메스꺼움 등 기타 증세도 주의해야 한다.평소와 다른 모습이라면 빨리 의료기관에서 진찰을 받는 것이 좋다.치료 후에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체력이 회복될 때까지 안정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